최근 10년 세계교역의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다.
한국은 총수출액의 1/3이 하이테크 품목으로 수출액 기준 세계 6위를 기록하고 있다.
세계 2대 하이테크 품목 수입국은 중국·미국으로, 중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은 10년간 2위를 고수하고 있으나
최근 1위 대만과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이는 미·중 분쟁 이후 중국이 대만과의 공급망 연계를 강화함에 따라,
반도체 등 첨단품목에서 대만의 수출이 빠르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 하이테크 수입시장에서 한국은 6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미·중 분쟁에 따른 중국의 점유율 하락 이후 한국을 비롯한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국가들의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이 향후에도 하이테크 수출강국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스템반도체 전·후방 공정에서 경쟁력을 강화함과
더불어, 의약품·항공우주 등 신성장 산업에서의 수출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는 규제 완화, 전문 인재양성 지원, 기업 차원에서는 과감한 연구개발·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
(규모) 하이테크 품목은 세계교역(수입액 기준)의 1/5을 차지하며, 최근 10년간 여타품목 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
전세계 교역액 17.4조 달러 중 하이테크 품목 교역액은 3.6조 달러로 20.5% 차지(2020년 기준)
하이테크 품목 교역액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3.4%로 꾸준히 성장(2010~2020년 기준)
- 동 기간, 非하이테크 품목의 교역은 연평균 1.0% 속도에 불과(총교역은 연평균 1.4% 증가)
(10대 수출국) 최대수출국은 중국, 뒤를 이어 홍콩䞱미국䞱대만䞱독일䞱한국 순
중국이 전세계 하이테크 수출의 23.6%를 차지하는 1위 국가이며,
뒤를 이어 홍콩(10.6%), 미국(7.3%), 대만(6.1%), 독일(5.9%), 한국(5.3%) 순
한국은 5.3% 점유율로 6위를 기록 중이며, 지난 10년 꾸준히 5~6%의 세계점유율 및 5~6위를 기록 중
신흥 하이테크 수출국으로 대만(5.3%→6.1%) 베트남(0.3%→3.2%) 부상 중
- 반면, 미국(9.5%→7.3%), 일본(5.8%→3.3%)은 수출 점유율 하락 추세
(규모) 중국은 세계 1위 하이테크 수입국가로 세계 수입시장의 18.5% 차지(2020년 기준)
2021년 수입액 규모는 7,969억 달러이며, 최근 10년간 수입액이 꾸준히 증가
(국가별) 대만䞱한국이 각각 1䞱2위이나, 2018년 이후 양국 격차가 확대
2013년부터 대만 1위, 한국 2위 구조가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 점유율 격차 확대(1.8%p(’17)→9.3%p(’21))
일본(11.2%→7.2%)과 미국(6.1%→4.9%)의 점유율이 하락한 반면, 베트남은 빠르게 상승(0.5%→7.0%)
중국 수입시장 내 한국 주력품목 동향 (반도체䞱통신기기)
(1) 반도체
대만에 이어 2위를 장기간 유지중이나, 1위 대만과의 점유율 격차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
- 미䞱중 통상분쟁 이후 중국의 대만과의 공급망 연계 강화 및 대만 TSMC 매출확대에 기인
- 한국을 비롯한 말레이시아, 일본 등 주요국 비중이 동반 하락
* 해당 기간 對中 반도체 수출액은 증가세 시현(60억불(’15) → 84억불(’18) → 90억불(’21))
(2) 통신기기
각국의 중국→베트남 생산기지 이전으로 2017년부터 베트남이 한국을 크게 역전
* 베트남은 한국기업의 무선통신기기 주요 생산지로(삼성전자 스마트폰 생산량의 50~60%가 베트남産),
이를 한국의 통신기기 수출경쟁력 약화로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있음
통신기기
중국이 압도적 1위인 가운데, 한국의 점유율은 무선통신기기 해외생산 확대로 점차 하락
- 주요국 스마트폰 제조사의 생산기지가 중국→베트남으로 옮겨감에 따라 중국 점유율 하락, 베트남 상승
- 다만, 미국 내 스마트폰 점유율 1䞱2위 브랜드 애플(50%) 및 삼성전자(24%)의 생산거점이 여전히 중국에 있어,
미䞱중 분쟁에도 불구 타 국가로의 수입대체가 빠르지 않음(Counterpoint, 2022.Q1)
미·중 하이테크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수출 동향 및 시사점-포커스&브리프
포커스&브리프
www.kita.net
미·중 하이테크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수출 동향 및 시사점-포커스&브리프
포커스&브리프
www.kita.net
미·중 하이테크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수출 동향 및 시사점-포커스&브리프
포커스&브리프
www.kita.net
'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경 테셋 용어, TESAT 독학, 경제용어 (0) | 2022.07.29 |
---|---|
한경 테셋 용어, TESAT 독학, 경제용어 (0) | 2022.07.29 |
한경 테셋 용어, TESAT 독학, 경제용어 (0) | 2022.07.29 |
LFP 배터리 전망, NCM 배터리 전망, 삼원계 배터리, 2차전지 (0) | 2022.07.29 |
국제원자재 가격과 원화환율의 변동요인 및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국제무역통상연구원 (0) | 2022.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