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M이란?
CBM은 컨테이너안에 적재하는 박스부피 단위를 말한다.
CBM(CUBIC METER)
보통 LCL(소량화물),FLC(만재화물)안에 들어갈 수 있는지 확인할때 CBM계산을 하게된다.
#CBM계산기 왜 필요하나?
수출입시 운송회사에서는 박스 갯수도 물어보지만 CBM이 얼마되는지도 물어본다.
CBM 계산기에도 있듯 20FT 기준 컨테이너에 27~29CBM 정도 들어간다.
(계산식 에서는 27CBM 기준)
예제)
가로 30cm,세로 40cm, 높이 30cm 박스가 있다면 20ft컨테이너에 들어갈 수 있는 박스갯수는?
0.3m*0.4m*0.3m=0.036cm 27/0.036=750CBM
즉 750상자 이상 들어갈 수 있다는 말이다.
#CBM 산정법
CBM이란 Cubic Meter의 약자로서 가로, 세로, 높이가 각 1미터인 부피를 환산하는 단위입니다.
컨테이너 적재능력은 중량과 부피로 가늠이 되는데 중량은 Ton이나 kg으로 부피는 CBM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최대 적재 부피는 그 내장 size에 의해 결정이 되지만
컨테이너 내,외장 size는 운송단위 규격화를 위해 국제적으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제작사에 따라 무시할 정도의 근소한 차이는 있음)
아래는 컨테이너 내장 Size 의 최소치를 기준으로 적어 놓은 것 인데
어느 선사의 컨테이너라도 아래의 수치를 적용하면 무리가 없을것 입니다.

내장 Size : 길이/폭/높이/CBM
20ft(Dry) : 5.8M/2.3M/2.3M/30.682
40ft(Dry) : 12M/2.3M/2.3M/63.480
(CBM은 위의 숫자를 곱하면 나옵니다)

위 사이트를 이용해서 CBM을 계산해보세요!
그런데 위의 CBM은 물이 아닌 다음에는 실제 화물을 적재 할 경우 나올수 있는 수치는 아닙니다.
왜냐하면 화물 적재시 Dead Space(공간)가 생기기 때문인데 이는 화물의 외장 Size에 달려 있습니다.

예로 어느 1개 화물의 포장후의 외장 높이가 1.2M를 넘게 되면 컨테이너 내 2단적재(2층으로 쌓는것)가 안되므로
화물을 많이 적재 할 수 없습니다.
(물론 폭이 좁고 물건을 옆으로 뉘어도 상관이 없다면 문제가 달라 지겠지만)
일반적으로 화물의 단위당 용적(CBM)이 작을수록 화물은 많이 적재 할 수 있습니다.

즉, 같은 30CBM의 화물이라도 단위당 화물의 Size가 책상 만한 것과 라면 Box 만 한 것이 있다면 라면
Box 만한 화물의 Dead Space가 적게 나오기 때문에 화물을 더 많이 적재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책상 만한 화물이나 더 큰 화물 이라도
컨테이너의 내장 Size를 감안, 포장을 제작 하였다면 문제는 달라질 것입니다.


'무역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용어) 포워더,포워딩,LCL,FCL의 차이! (0) | 2022.07.28 |
---|---|
무역용어, T/T Telegraphic Transfer, 전신환송금 (0) | 2022.07.28 |
무역용어) D/O,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시점, 프리타임, DEM, DET, 스토리지 (0) | 2022.07.28 |
계약서 기초지식, 계약서 작성 가이드라인 (대한상사중재원) (0) | 2022.07.28 |
국내계약서 작성방법, 국내계약서 양식, 대한상사중개원 (0) | 2022.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