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관련

국제원자재 가격과 원화환율의 변동요인 및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국제무역통상연구원

by 회짱조아 2022. 7. 29.
반응형
SMALL

평소 즐겨보는 한국무역협회의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서 좋은 레포트가 있어서

이웃들과 모두에게 공유하고자 합니다

모든 출처는 국제무역통상연구원으로 맨 하단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TF17호. 국제원자재 가격과 원화환율의 변동요인 및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pdf
2.07MB
SMALL
반응형

목차

Ⅰ. 연구배경

Ⅱ. 국제원자재 가격과 원화환율 동향 및 전망

Ⅲ. 국제원자재 가격과 원화환율의 변동요인

Ⅳ. 국제원자재 가격과 원화환율 변동에 따른 생산비용 파급효과

Ⅴ.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우리 수출입 영향

Ⅵ. 국제원자재 가격과 원화환율 변동에 따른 시차별 경제충격 분석

Ⅶ. 결론 및 시사점

첨부파일
TF17호. 국제원자재 가격과 원화환율의 변동요인 및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pdf
파일 다운로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의 금리 인상, 중국의 제로코로나 봉쇄,

주요국의 원자재 수출규제 등 국제정세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원자재 가격과 원화 환율은 2008년 금융위기 시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변동 폭이 확대되고 있다.

2021년 평균 대비 현재(7.12일) 가격을 보면 에너지 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금속 가격은 전체적으로 하락하였고,

곡물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300대를 돌파하면서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국제원자재 가격의 변동요인은 품목별로 다양하지만,

원자재 전반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가격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으로는 4가지를 꼽을 수 있다.

①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공급이 감소하면서 가격 상승을 유발하였고,

②세계 경제 둔화와

③중국의 코로나 봉쇄에 따른 원자재 수요 감소가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④탄소중립 정책이 주요국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면서 중이며,

장기적으로 에너지 가격은 하락, 금속과 농산품 가격은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은 5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50bp 인상한 데에 이어, 물가 상승세 억제를 위해 추가적인 자이언스 스텝(75bp)을 발표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정책으로 미국 정책 금리는 올해 3분기 중 3%대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

미국 금리 상승은 주요국에서 미국으로의 자본 유출 → 외환시장 내 달러화 공급 감소 →

달러화 강세 → 원/달러 환율 상승 경로를 통해 환율 상승을 유발

원/달러 환율 동향 및 전망

러-우 전쟁 이후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미국의 금리 인상 등으로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세를 지속

내년 1분기 들어 달러의 강세가 완화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1,255원 까지 하락할 가능성

원/유로 환율 동향 및 전망

대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았던 EU의 경제 둔화 우려로 유로화는 ’21년 평균 대비 약세

원/유로 환율은 3분기 들어 일시적으로 반등한 후 내년 초에 1,320원대로 재차 하락할 전망

원/엔 환율 동향 및 전망

러-우 전쟁 이후 엔저 현상 심화로 원/엔 환율은 하락하며 ’21년 평균 수준을 큰 폭 하회

내년 초까지 엔저 현상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원/엔 환율도 현재와 큰 변화 없이 9.5 내외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

원/위안 환율 동향 및 전망

원/위안 환율은 러-우 전쟁으로 인한 영향이 제한적이었으며, 190원 내외 수준에서 보합세 지속

코로나 봉쇄조치로 인한 경제 둔화 우려로 원/위안 환율은 하반기 중 190원 초반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나, 중국의 추가적인 봉쇄조치 시행 여부 및 그 강도에 따른 불확실성이 큼

중국은 니켈(59.0%), 알루미늄(58.7%), 철광석(56.0%), 석탄(54.3%), 구리(54.0%) 등

주요 산업용 원자재 세계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이는 낮은 임금과 풍부한 노동력을 가진 ‘세계의 공장’ 중국에서 산업용 원자재를 수입하여 가공하는 물량이 크기 때문

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중국은 올해 확진자가 다수 발생한

상하이, 베이징 등 주요 도시에 강도 높은 봉쇄조치를 단행한 바 있음

봉쇄조치의 영향으로 중국의 3~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3개월 연속 기준선 50을 하회

* PMI 50 초과는 경기 확장 국면, 50 미만은 경기 위축 국면에 있다는 것을 의미

원화환율의 변동요인은 크게 3가지로,

①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였고

②세계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됨에 따라 원화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또한 최근 ③우리나라 국제수지 적자가 확대되면서 원화 가치의 하락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원유가격동향 및 전망

원유 가격은 러-우 전쟁 발발 직후 큰 폭 상승하며 110달러 선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으며,

향후 수급 불균형이 점진적으로 해소되면서 국제유가는 내년 1분기에 100달러 이하로 하락할 전망

천연가스 가격 동향 및 전망

천연가스 가격은 러-우 전쟁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했으나, 최근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

올해 하반기와 내년 초 천연가스 가격은 소폭 하락한 6달러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

석탄 가격 동향 및 전망

석탄 가격은 러-우 전쟁 발발 직후 400달러를 돌파하며 큰 폭으로 상승한 이후 현재까지도 400달러 이상의 높은 가격이 유지되는 중

올해 하반기 중에는 300달러 수준으로 가격이 하향 안정화될 것이며, 내년 초에는 200달러 중반으로 크게 하락할 가능성도 있음

구리 가격 동향 및 전망

내년 초 까지도 구리 가격은 현재와 비슷한 수준으로 7천 달러대 중후반을 유지할 전망.

#니켈가격동향및전망

니켈 가격은 러-우 전쟁으로 인한 수급 불안과 中 칭산그룹의 숏커버링 3 으로

3월 중 48,000달러를 돌파하며 런던금속거래소(LME) 거래가 중단되는 등 급격한 가격 상승세를 기록,

내년 1분기 가격 전망은 20,000달러로, ’21년 평균 수준으로 서서히 회귀할 것으로 전망

#밀가격동향및전망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로부터의 공급 불안으로 전쟁 직후 밀 가격이 큰 폭 상승했으나,

현재 가격은 ’21년 평균 수준으로 하향 안정화된 상황

3분기 중 일시적으로 1,200센트까지 반등할 가능성이 있으나, 4분기 이후 재차 하락할 전망

#옥수수가격동향및전망

러-우 전쟁으로 옥수수 공급량이 감소하며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

올해 3분기 가격이 800센트까지 상승한 이후, 내년 1분기에는 600센트대까지 하락할 전망

#팜유가격동향및전망

러-우 전쟁으로 공급 차질이 발생한 해바라기씨유의 대체재로 팜유가 사용되며 대체수요가 증가하였고,

인도네시아 정부가 일시적으로 팜유 수출 금지 조치를 발표하며 가격 상승에 일조

인도네시아가 수출 제한을 해제한 이후 팜유 가격은 ’21년 평균 수준으로 안정화되는 추세이 며,

내년 초 3,800달러대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됨

원자재 가격과 원화 환율 변동은 생산비, 수출입, GDP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2021년 평균 대비 현재 가격 변동률을 기준으로 보면, 국내기업의 생산비용은 전산업에 걸쳐 8.8%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비용 파급효과는 원자재 가격과 환율 변동 시점으로부터 약 5개월의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입 영향을 살펴보면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각각 10% 상승했을 때 우리나라 수출금액은 0.03% 증가하고,

수입은 3.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무역수지 적자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원자재 가격과 원화환율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단기적으로는 경제성장률이 영향을 받으며 올해 4분기까지는 등락을 반복하겠으나,

그 충격의 여파는 10개월 이내에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공급의 26.1%, 천연가스 공급의 16.6%,

원유 공급의 12.1% 를 차지하는 등 세계 원자재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특히 EU의 일부 국가들은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

* EU국별 對러 천연가스 수입의존도(’20년 기준) : 에스토니아 89.3%, 핀란드 81.9%, 벨기에 48.6% 등

미국·EU 등 서방국의 대러시아 경제제재, 러시아의 수출규제를 통한 맞대응 등

상호 공격적인 통상정책으로 원자재 공급망 교란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 EU는 올해 2월부터 여섯 차례에 걸쳐 대러시아 경제제재 패키지를 발표했으며,

최근 5~6차 제재에서 러시아산 석유, 석유제품, 석탄 등 에너지 수입을 금지하는 조치를 발표

- 이에 러시아는 「일부 외국 및 국제기구의 비우호적 행위에 대한 특별경제조치

관련 대통령령 제252호」를 통해 EU 기업들에 대한 천연가스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하며 맞대응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