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인보이스 (송장)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인보이스(Invoice, 송장)란?
송장으로 발송인이 수하인에게 보내는 거래상품명세서 입니다.
이는 수출자에게는 대금청구서, 수입자에게는 매입명세서로 수입 신고 시 과세가격의 증명 자료가 됩니다.
Invoice 상에는 상품명 및 수량, 단가, 품질, 인도조건, 지급조건 등이 상세하게 명시되어야 합니다.
Invoice 또한 수출 및 수입통관 시 필수 선적서류로 Packing list 만큼이나 중요한 선적서류
중요한 선적서류의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Invoice 상에는 화물의 공급가액이 기재되고
이를 바탕으로 지불해야 할 Tax 가 책정되기 때문입니다!!!!!

★주의사항★
선적서류는 수출입통관 시 반드시 필요한 필수서류로 오기재될 경우, 수출입 통관이 홀딩되어 차질이 생길 수 있기때문에
선적서류에 기재되는 사항들은 철저히 확인하시어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① 인보이스에 들어가는 용어 및 설명
1) Shipper / Exporter : 수출자(화물을 보내는 사람)
2) Consignee / Importer : 수입자
3) Notify Party : 화물이 도착지 항구에 도착한다는 통지를 보내는 곳
(Consignee와 동일하거나 수입통관을 담당하는 지정 포워더)
4) Port of Loading : 수출항
5) Final Destination : 수입항(도착지 항구)
6) Carrier : 운송수단 및 편명
7) Sailing on or about : 출항 날짜
8) Invoice No. & Date : Invoice 번호 및 날짜
9) L/C No. & Date: L/C 번호 및 발행일(신용장 거래일 경우) - T/T 거래 건 일 경우, N/A 표기
10) L/C Issuing Bank: L/C 발행 은행(신용장 거래일 경우)
11) Remarks: PO No.(계약번호) 및 HS Code, 원산지 등이 기재됨.
Consignee 요청 및 수입국의 특성에 따라 기재되는 내용이 조금씩 상이함.
12) Shipping Marks & Number of PKGS : 화물 번호 및 화물에 부착된 shipping mark 내용
(Shipping mark와 packing list를 대조하여 화물을 확인하기 위함)
13) Description of Goods : 물품명
14) Quantity : 화물 수량
15) Net Weight : 화물의 포장재 및 Package를 제외한 순수 중량
16) Gross Weight : 화물의 포장재 및 Package를 포함한 총 중량
17) CBM : 화물의 부피(가로*세로*높이)
* 9, 10번 항목을 제외한 15가지 항목은 모두 패킹리스트에 들어가는 항목과 동일합니다!
② 상품명세의 기재
상업송장에는 거래물품의 명세가 정확히 기재되어야 하며, 신용장에 나오는 조건과 반드시 일치하는 지 확인해야 한다.
신용장 조건에 나온 상품의 조건은 상품명 이외의 수량, 품질, 단가, 가격조건 등의 모든 내용을 포괄한다.
③ 정확한 내용의 기재
상업송장은 출하안내서, 가격계산서이므로 제품의 수량과 단가, 금액 등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상업송장의 계산 착오는 책임을 부담할 수 있으므로 송장상의 금액 부분은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
④ 상업송장의 서명
신용장의 요구에 따라 상업송장에는 서명이 들어가는 게 일반적이나 따로 요구하지 않은 경우 서명을 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예시로 아래의 인보이스 샘플을 봅시다~~
야매로 적은거니 금액은 대충~~~


3. Proforma Invoice (견적송장, 가송장)
계약 체결을 위한 송장으로 일반적으로 매도인이 거래 금액과 수량을 매수인에게 제시하는 용도로 쓰입니다.
이는 말 그대로 사전의 임의 송장으로 실제 계약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 7/22일이지만 계약체결단가가 7월 전체시세평균으로 하는 경우에는 계약 체결인 당일까지의 평균값으로 가송장을 작성하겠죠?
7/1~7/22일까지의 평균시세: 20$/lb (가송장)
7/1~7/31일까지의 평균시세: 22$/lb (상업송장)
보통 이런 케이스같은 경우를 가정하여 가송장, 견적송장으로 적습니다.
혹은 상황에 따라 시세결정이 나지않고 수입진행을 하는 경우, 추후에 커머셜인보이스 작성을 하여 남은 금액 정산을 하게됩니다.
- 계약 단가, 수량, 거래 조건, 결제 조건, 선적 방법, 납기 등이 기재됨.
- 일반적으로 수입자는 Pro-forma Invoice를 근거로 하여 Purchase Order(PO/구매주문서)를 작성함.
- 약식의 개념이라 일반적으로는 법적 효력과 근거를 가지지 않지만, 계약서의 일종으로 여기며, 법적 효력과 근거가 되기도 함.
- 수입업자의 신용장 발행을 위해 갖추는 형식이라고 볼 수 있음.
- 실제 계약 후 발행되는 Shipping Invoice나 Commercial Invoice와는 가격 및 수량 등이 차이날 수 있음.
4. Commercial Invoice (상업송장) = Provisional Invoice (상업송장)
상업송장, 외국무역에 있어서 수출상으로부터 수입상에게로 작성되는 상거래 용의 송장입니다.
커머셜인보이스=프로비저널인보이스 입니다!!!!
상업송장(Invoice)이란 매매계약 조건을 정당하게 이행하였음을 밝히는 것으로
판매자(수출업자)가 구매자(수입업자)에게 보내는 거래상품 명세서이며 상거래 시 선하증권과 함께 중요한 선적문서로 사용된다.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은 거래상품의 주요사항을 상세히 명기한 것으로 판매자(수출업자)에게는 대금청구서로서의 역할을 하고,
구매자에게는 매입명세서로서의 역할을 하여 수입신고 시 과세가격의 증명자료가 된다.
송장은 거래계약의 존재 및 계약의 이행을 입증하는 자료로 쓰일 수 있으며
수입물품의 정확성과 진실성을 입증하기 위한 세관신고의 증명서로 사용하기도 한다.
송장은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과 영사송장(consular invoice) 등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상거래용으로 쓰이는 상업송장을 일반적인 송장의 의미로 사용한다.
상업송장은 무역거래에 있어서 계약이행의 사실을 입증하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입품의 정확한 내용과 진실성을 입증하기 위한 증명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무역서류 중 필수적인 서류라고 할 수 있다.
송장은 무역금융에서 담보물의 명세를 밝히는 중요한 문서로 사용되며 수출업자가 발행하는 환어음을 매입은행이 매입할 때,
또는 수입지 거래은행이 수입업자에게 화물대도(trust receipt : TR)를 통해 화물을 인도할 때에도 운송서류에는 송장이 필히 포함되어야 한다.
※ 수입화물대도(Trust Receipt : TR)
은행에서 담보권을 확보한 채로 수입자에게 담보화물을 대도하고
수입자는 화물매각대금으로 대금결제 또는 차입금을 상환하는 제도로
수입자가 수입물품을 입수하기 위해 은행에 제출하는 보증장을 말한다.
송장은 무역거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서로 모든 신용장에서 필요로 하고 있으나
보험증권이나 유가증권인 선하증권 등과 같이 청구권이 있는 문서는 아니다.
상업송장의 기능?
1) 국제무역의 구매서 역할
국내 상거래에서 사용되는 송장과 달리 국제 무역에서는 구매서의 역할을 하므로
거래 물품의 주요사항인 계약상품의 정확한 규격 및 개수, 포장 상태 및 화인 등이 상세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2) 특정거래의 증거자료로서의 역할
송장은 운임보험료포함가격(C.I.F)나 운임포함가격(C.F.R)의 경우,
선하증권이나 보험증권이 계약과 일치되었음을 증명하는 등 특정 거래 계약의 존재 및 이행의 사실을 입증하는 증거자료가 된다.
3) 매매계약서 및 대금청구서로서의 역할
계약 상품의 순단가, 부대비용, 할인료, 지불방식, 지불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명기한
매매계약서 및 대금청구서로서 송장상의 발행금액은 환어음의 발행금액과 일치해야 한다.
4) 무역거래의 필수서류로서의 역할
무역결제는 대부분이 환어음으로 이루어지며 수출지 은행에서 환어음을 매입할 때나
수입지 은행에서 대도(T/R)로 수입물품을 수입업자에게 인도할 때
환어음의 담보물권이 되는 서류 중에서 담보물의 명세서 및 계산서의 역할을 하는 송장이 포함되어야 한다.
5) 세관신고 증명자료로서의 역할
송장은 수입지에서 화물수취 안내서와 수입물품의 진실성 및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한 세관신고의 증명자료가 된다.
따라서 모든 송장은 과세표준액 산정에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수입통관 시 수입업자에게 불이익이 초래되지 않도록 정확히 작성해야 한다.
유의사항?
상업송장은 물품의 거래가 원격지간에 행해지는 경우에
매도인이 매수인 앞으로 해당물품의 특성과 내용을 상세하고 정확하게 작성하여 송부하는 선적화물의 계산서 및 내용명세서이다.
국내 상거래에 이용되는 송장은 단순히 상품의 적요서나 안내장의 역할을 하지만
국제무역의 경우에는 적요서나 안내장의 역할뿐만 아니라
매매 당사자의 이름과 주소, 발행일자, 주문번호, 계약상품의 규격 및 개수, 포장상태 및 화인 등이 표시된
구체적인 매매계산서인 동시에 대금청구서이기도 하다.
1) 고유코드를 상업송장에 기재
우리나라 주요수출품목의 대부분은 미국으로 수입되며 미 정부는 외국상품에 대한
수입동향을 효율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수입상품의 통관 시 수출업체의 고유코드를 통관서류인 상업송장에 기재하도록 정하였다.
이 코드를 기재하지 않거나 부정확하게 기재할 경우 통관 지연이나 통관 거부 등의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작성하도록 한다.
2)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기재
국명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기준에 따라 기재하여야 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KR' 로 표시한다.
업체명의 처음 2단어에서 각각 최초의 3자를 인용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업체명이 1단어일 경우 3자로만 작성하면 된다.
3) 주소나 도시명을 적을 때 약자로 기재
거리명 또는 사서함 번호가 있는 주소 중 가장 큰 숫자를 찾아 4번째까지의 아라비아 숫자를 인용하여 작성한다.
예를 들어 1145 NA STREER SUITE 9999의 경우는 1145로 CHONGRO GU 249의 경우는 249로,
주소에 숫자가 없을 경우는 생략 한다. 도시명은 처음 3자를 인용하여 작성한다.
예를 들어 SEOUL은 SEO로 PUSAN은 PUS로 작성하면 된다.
여기까지 인보이스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ㅎㅎㅎ


'무역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용어) D/O, 화물인도지시서, 발행시점, 프리타임, DEM, DET, 스토리지 (0) | 2022.07.28 |
---|---|
계약서 기초지식, 계약서 작성 가이드라인 (대한상사중재원) (0) | 2022.07.28 |
국내계약서 작성방법, 국내계약서 양식, 대한상사중개원 (0) | 2022.07.28 |
국제 계약서 작성방법, 국제 계약서 양식, 영문 계약서 양식 (0) | 2022.07.28 |
선박위치추적사이트 - Marine traffic, vessel finder (0) | 2022.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