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적관련용어 2탄입니당~~
오늘은 BL의 종류에 대해서 배워보려고 합니다!!!
가장 중요한 선적서류 중 하나죠~
수출입 시에 반드시 있어야하는 서류 이므로 종류에 대해서 알아봅시당!

Bill of lading (B/L) 또한 필수 선적서류 중 하나로, B/L은 선사에서 수출자에게 발행하고
수출자는 이 원본을 수입자에게 전달하여 수입자가 이 원본을 갖고 물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B/L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서류 자체로 채권적 효력을 가진다는 점 입니다!!!!

Bill of Lading (B/L)
해상운송계약에 따른 운송화물의 수령 또는 선적을 인증하고, 그 물품의 인도 청구권을 문서화한 증권입니다.
이는 선사에서 B/L 상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 운송과 인도를 한다는 약속을 문서화한 것 입니다!
B/L 상에 기재되는 사항들은 packing list와 Invoice를 근거로 기재되기 때문에
B/L이 확정적으로 발행되기 전 Draft B/L 을 꼼꼼하게 검토하셔야 합니다!
Bill of Lading 의 종류
가장 중요한 OBL, SBL은 따로 빨간색으로 표시해두었습니다!

1) Original B/L (OBL)
B/L 원본으로 물건 수령시, 반드시 필요합니다
2) Surrendered B/L (SBL)
Original B/L을 발급하지 않고 수출자가 B/L의 권리를 포기하여 수입자가 Original B/L 없이 물품 수령을 가능토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3) Master B/L
선사가 forwarder 에게 발행하는 B/L
3) House B/L
Forwarder B/L 이라고 하며, Master B/L을 근거로 forwarder 가 화주에게 발행하는 B/L
(House B/L 발급 전 Master B/L 발급 필수)
4) Clean B/L
화물이 선적지시서와 일치하게 선적되었음을 나타내며 무고장선하증권이라고도 합니다
5) Dirty B/L
화물이 선적지서서와 달리 선적된 경우(불완전한 포장, 수량 불일치, 등)를 나타내며, Foul B/L 및 사고부선하증권이라고도 합니다

1. House B/L과 Master B/L의 의미
- House B/L은 포워딩 회사가 화주에게 발급하는 선하증권으로
일반적으로 소량 단위의 화물(LCL)의 거래 시 사용됩니다.
(저희 회사는 주로 컨테이너 1개를 단위로 해서 수송되는 대량화물(FCL)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통관진행이 가능합니다.
- Master B/L은 선사가 포워딩 회사에 발급하는 선하증권으로 일반적으로 컨터이너를 20, 40피트의 컨테이너 화물(FCL)의 거래 시 사용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수출입대금결제가 가능합니다!
2. House B/L과 Master B/L의 차이점
- Master B/L은 위쪽의 Issued by에 "항공사 혹은 선사"의 이름과 주소가 기재되어 있고,
House B/L은 "포워더 이름과 주소"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 Master B/L은 아래쪽에 "Signed for the Carrier"가 기재되어 있으나,
House B/L은 "Signed for the Carrier or its Agent"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3. Original B/L의 의미
Original B/L은 유가증권의 효력을 지닌 선하증권으로 수입업자는
이를 갖고 수입국 국가에 도착한 화물의 수입통관 진행이 가능합니다.
단, 이는 수입자가 수출자로부터 전달받게 되는데,
계약금이나 잔금에 이상이 없을 시 화물의 권리를 넘긴다는 의미이므로
수출자의 권리보호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4. Original B/L의 특징
- 일반적으로 수입자와의 계약이 처음이거나 정확한 거래를 위해 Original B/L을 발행함.
- 화물이 도착지의 수입국에 도착했더라도 수입자가 Original B/L을 갖고있지 않다면 화물을 인수받을 수 없음.
- 주로 신용장(L/C) 거래에서 발행되기도 하지만 반드시는 아님.
- Original B/L 이지만, 분실 또는 훼손 등에 의해 사용이 불가할 시 일정한 절차에 따라 재발행이 되기도 함.
- Original B/L은 통상 3부가 발행되며, Shipper와 Conginee가 각 각 1부씩 보관함.
5. Surrender B/L의 의미
Surrender의 의미와 같이 포기하다는 의미로 수출자가 유가증권에 대한 효력을 스스로 포기한다는 것으로
B/L 발행 전, 수출자가 original B/L이 아닌 Surrender B/L을 발급 요청하여 진행되는 것 입니다.
6. Surrender B/L의 특징
- 수입자는 수입자를 통해 전달받은 Surrender B/L로 수입통관 등을 진행합니다
- Original B/L에 비해 risk가 크지만,
수입자 혹은 거래처가 확실하고 안정적이라는 신뢰를 바탕으로 발급하므로
원본서류를 따로 발송해 주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 신용장 거래일 경우는 거의 쓰지않고, 주로 현금거래(T/T)의 경우 사용됩니다
가장 기초가 되는 B/L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다른 용어들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당!

'무역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SM이란? 시험준비, 필요사항, 자격요건 (0) | 2022.07.29 |
---|---|
선적관련 용어 - 양하, 선적, 하역, 적하, 양륙, 상차, 하차 (0) | 2022.07.29 |
무역용어, 선적관련용어, L/C / 신용장, 신용장 종류 (0) | 2022.07.28 |
선적관련용어. Freight Collect와 Freight Prepaid (0) | 2022.07.28 |
무역용어, 선적관련용어, Certificate of Origin, COO, 원산지증명서, FTA, 자유무역협정 (0) | 2022.07.28 |
댓글